서울 하수관로의 약 30%가 50년을 넘긴 '초고령' 하수관으로 교체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종로, 용산, 성북, 영등포구 등 지역에서 50년 이상 된 하수관로 비중이 40∼50%대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15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, 2023년 12월 기준 서울 하수관로 총연장 1만866㎞ 중 50년 이상 된 하수관로는 3천300㎞(30.4%)입니다. <br /> <br />30년 넘은 하수관로는 6천28㎞(55.5%)에 달합니다. 일반적으로 경과년수가 30년 이상이면 노후 하수관으로 분류합니다. <br /> <br />지역별 현황을 보면, 50년 이상 된 하수관 비중은 종로구가 53.5%로 가장 컸습니다. <br /> <br />용산구(48.5%), 성북구(47.7%), 영등포구(45.7%), 마포구(45.4%), 구로구(43.5%), 성동구(42.2%)도 40%를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30년 이상 하수관 비율은 종로구(66.3%), 도봉구(66.2%), 용산구(65.2%), 영등포구(63.6%), 서초구(63.2%) 등 순입니다. <br /> <br />노후 하수관은 땅 꺼짐(싱크홀) 주범으로 꼽힙니다. 하수관의 구멍과 갈라진 틈 사이로 새어 나온 물이 땅속의 흙을 쓸어가면서 빈 공간이 생겨 땅이 내려앉는 원리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(2020∼2024년) 전국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총 867건 중 하수관 손상이 원인인 경우는 394건(45.4%)으로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싱크홀 예방을 위해 GPR(지표투과레이더) 장비를 활용한 지하 공동(空洞) 탐사를 하고 복구 작업을 벌이는데, GPR은 지하 2m까지만 검사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어 주요 위험 요소인 노후 하수관 정비도 병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막대한 예산입니다. <br /> <br />시는 매년 약 2천억원을 들여 노후 하수관로 100㎞가량을 정비하지만, 노후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본래 투입하는 하수도 특별회계 예산 외에 재난관리기금 등을 활용해 교체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진선미 의원은 "매일 시민들이 출퇴근하는 도로의 안전을 운에만 맡길 수는 없다"며 "정부와 지자체가 안전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, 하수관로 정비 등 재발 방지 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해야 한다"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막편집: 박해진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41510130870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